본문

[6월 30일] '인간 DNA 합성' 프로젝트 착수…'맞춤형 베이비' 우려도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인간 DNA 합성' 프로젝트 착수…'맞춤형 베이비' 우려도

DNA 합성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착수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일부 연구자들은 우려를 표했다. DNA를 교정해 원하는 유전 형질을 가진 맞춤형 아기를 만드는 등 변형된 인간이 탄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외모, 성격, 지능 등을 원하는 대로 수정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유전질환이 발생하거나 부유한 사람들이 더 나은 유전 형질을 갖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프로젝트 팀은 연구는 시험관과 배양접시 내에서만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합성 생명체를 만드는 시도는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웰컴 트러스트 역시 인간 DNA 합성은 난치병 치료법을 찾는 등 인간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둘째는 딸 원해요" 韓 예비맘들 태국行 [여기는 동남아]

 동남아시아의 의료선진국인 태국이 자녀의 성별을 가려 출산하려는 국내 예비 엄마의 '원정 출산지'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에서는 시험관 시술(IVF)때 성별 선택권을 제한하고 있지만 태국을 비롯한 미국, 멕시코, 키프로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를 허용하고 있어서다. 특히 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다른 국가 대비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이유로 국내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다른 동남아국가들과 다르게 의료 인프라가 발달한 점도 인기를 끄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 '첨단대체시험법' 개발 착수…신약개발에 동물 실험 사라진다

정부는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동물을 사용하지 않는 첨단대체시험법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그동안 신약 후보물질 개발 때 동물에 약물을 투여해 독성과 효능을 확인하는 비임상 동물실험을 해왔으나, 생명윤리 차원의 문제와 함께 동물과 인체 간 생물학적 차이에 따른 임상 실패 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에 대응해 세계 주요국은 비임상 동물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첨단대체시험법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연명의료 거부' 300만 시대... 70대 여성 31%가 쓴 이 문서는 [유예된 죽음]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이하 의향서) 작성자 300만 명 시대가 열린다. 2018년 2월 연명의료결정제가 시행된 지 7년 만의 성과다. 가족이 아닌 환자가 스스로 연명의료를 유보 · 중단하기로 한 '자기결정존중 비율'은 52.5%로 최고점을 찍었다. 연명의료결정제(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는 2018년 2월 시행됐다. 치료 효과 없이 단지 죽음에 이르는 과정만을 연장시키는 의료 행위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법으로 보장하겠다는 취지였고, 법 시행 이후 실질적으로 다수 환자의 마지막 풍경을 바꿔놨다는 평가를 받는다.